본문 바로가기
교육관련/입시관련

이과 선호에 ‘문송’ 심화… 외고 절반은 미달 사태

by revecacho 2022. 11. 28.
반응형

문송의 의미

‘문송합니다’, ‘인구론’과 같은 신조어들을 한 번쯤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문송합니다’는 ‘문과라서 죄송합니다.’를 줄인 말입니다. ‘인구론’은 ‘인문계 졸업생 90%가 논다.’ 라는 뜻이죠. 이와 같은 신조어들은 최근 인문계 취업준비생 사이에서 유행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신조어가 생긴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인문계 대학생에게 취업의 문이 너무 높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대학 전공별 인력수급 전망을 조사해 발표한 결과 앞으로 10년 동안 대학 졸업생 79만 3,000명이 일자리를 얻지 못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특히 인문, 사회, 사범계열은 졸업생이 인력수요보다 더 많아 극심한 취업난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반대로 졸업생이 인력 수요보다 더 적어 취업이 비교적 잘되는 기계 · 금속, 전기 · 전자 등입니다. 따라서 공학 계열이 취업이 인문계열보다 잘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기업들의 채용 과정에서 인문계열 출신의 채용을 꺼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이공계 출신 선호도는 점점 증가하고 있기에 공학계열이 취업이 인문계열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업들의 채용 과정과 인문계 학생의 취업난으로 인해 학생들은 진로에 대한 갈피도 잡지 못한 채 전공, 진로와 상관없는 일자리에 취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05년~2011년까지의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졸 취업자의 전공 불일치 비율은 2005년 23.8%에서 2011년 27.4%로 3.6% 높아졌습니다. 계열별로 보면 인문계열이 44.9%로 공학계열의 23.4%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즉, 취업이 어려워지면서 전공과 무관한 업종을 선택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교육부는 2016년부터 ‘대학 인문역량 강화사업’을 시범으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대학 인문역량 강화사업’은 총 6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지원하며 인문학을 보호하고 육성하는 동시에 사회에 부합하는 인문학을 육성하도록 학과 및 교육과정을 개편을 궁극적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러나 취업만을 위한 정부의 일방적인 추진이 자칫 대학교가 취업을 위한 하나의 관문으로 낮추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문과라서 죄송합니다.’, ‘인문계 학생 중 90%가 논다’ 와 같은 신조어가 나오는 만큼 문과생들이 취업하기 쉽지 않은 현실이지만, 이러한 현실로 인해 자신이 원하는 과에 진학하지 않거나, 진로를 포기하는 일들은 없어야 합니다. 또한, 문과생만의 새로운 장점들을 보여줄 수 있는 새로운 도전도 필요합니다. 따라서 ‘문과여서 감사합니다.’, ‘문과여서 성공했다.’ 라는 신조어들이 유행할 수 있는 날들이 오기를 기대합니다.

 

외고 선호도 절반 '뚝', 과학고는 강세

자율형사립고(자사고)는 남기고 외국어고(외고)는 폐지하겠다.”

 

지난 7월 박순애 당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교육부 업무보고에서 외고 폐지 방침을 발표한 뒤 전국 외고는 발칵 뒤집혔습니다. 당초 자사고와 운명공동체로 묶여 있던 외고만 폐지한다는 소식에 외고 관계자와 학부모들은 연일 집회를 벌이며 반발했습니다. 박 전 부총리가 물러나고 정부가 외고도 존치할 방침이라고 밝히면서 논란은 일단락됐지만, 외고에 대한 선호도는 자사고보다도 더욱 빠르게 떨어지는 추세입니다.

 

25일 교육부에 따르면 올해 전국 외고 30곳 중 15곳이 미달 사태를 겼었습니다. 20182곳에서 4년 만에 크게 늘어난 것입니다. 외고 평균 경쟁률은 한때 101을 넘어섰고, 2010학년도에도 3.41 수준이었으나 올해에는 0.981에 그쳤습니다.

입시업계에서는 최근 대입에서 이과 선호 현상이 높은 것을 원인으로 꼽습니다. 지난해부터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이과 통합형으로 치러지면서 수학의 비중이 커졌고, 이과 수험생이 대입에 유리하다는 인식이 높아졌습니다. 실제 2022학년도 대입에서 서울 소재 상위권 대학 인문계열 지원자의 절반 이상은 이과 수험생이었습니다. 입시업계 관계자는 굳이 대입에 불리한 외고에 갈 이유가 없다는 분위기라고 설명했습니다.

 

반면 과학고의 2023학년도 경쟁률은 3.61로 최근 4년 새 가장 높았습니다. 지원자는 지난해 4728명에서 올해 5389명으로 14% 늘었습니다. 특히 서울 지역 과학고 2(한성과학고·세종과학고)의 경쟁률은 2022학년도 3.761에서 2023학년도 4.431로 오르며 최근 13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경기북 ·과학고는 경쟁률이 81에 달했습니다.

 

과학고의 인기는 이과 선호 현상과 반도체 등 첨단 학과 지원을 늘리겠다는 정부의 발표, 자사고 폐지 논란 등이 복합적으로 얽힌 결과로 풀이됩니다. 자사고가 폐지, 존치를 두고 흔들리는 동안 과학고로 눈길을 돌리는 이들이 많아졌다는 것입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이과를 생각하는 학생에겐 과학고가 자사고를 대체할 학교로 인식됐을 것이라며 정부 정책으로 이공계 선호도가 높아진 만큼 과학고 선호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반응형

댓글


loading